엠마우스 가는 길/생명의 농업 자연 농업

흙을 알아야 농사가 산다(2)

명랑 길벗 2007. 11. 28. 14:31
 

흙은 남자인가 여자인가(2)




24. 흙의 보약 유기물

- 유기물 없이 농사를 짓을 수 있을까(유기물이 하는 역할)

cf. 양이온 교환(치환) 용량(CEC,Cation Exchange Capacity) : 양인온은 다른 양이온에 의해 그 자리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기도 한다.

- 유기물에 대한 오해(토양개량)


25. 볏짚이 벼를 죽인다

- 질소 기아

- 탄질률


26. 마음씨 고운 여성, 유기물

- 음이온 흡착(음이온 치환 용량,AEC)

- 인산 고정과 이동


27. 미국 사람이 보는 유기물

- 금비 만능론(장점 활용)과 유기물 만능론(장점 활용)

- 금비와 유기물에서 양분 이동(식물이 빨아 먹는 양분의 꼴)이 같을까


28. 흙은 여성인가 남성인가

- 흙의 성분을 분석(%)하면

- 남성적인 양분

- 여성적인 양분

cf. 전하와 이온


29. 뱃구레가 작은 우리나라 흙

- 흙의 뱃구레는 양이온 교환 용량의 크기와 같다

- 양이온 치환 용량(흙의 뱃구레)을 높여(키워) 주려면


30. 뱃구레를 채우는 이로운 양분들

- 이로운 성분

- 해로운 성분

cf. 치환성 염기와 염기 포화도 그리고 염기 포화도 계산법


31. 흙도 많이 먹으면 탈이 난다

- 흙도 배탈이 난다

- 염류 장해


32. 용감한 수소 이온, 몹쓸 수소 이온

- 흙의 성분 중 힘의 세기에 따라 나누면

- 수소 이온이 하는 고약한 형태

cf. 건달 수소 이온(활산성 수소)와 진득이 수소 이온(잠산성 수소)


33. 산성에서 허리 꺽이는 비료들

- 산도와 비료의 이용률

- 산도 조정


34. 미국 자리공이 흙을 산성화한다

- 흙의 완충능(Buffer Capacity)


35. 부자도 만들고 거지도 만드는 석회비료

- 석회를 쓰는 집안에서 아버지는 부자지만 아들은 거지가 된다

cf. 비료의 4요소

- 산도와 pH

cf. 토양 검정


36. 우리나라 흙 흉보기

- 황톳길

- 원래 흙은 산성인가


37. 해마다 커지는 과수원의 동그라미

- 비료는 얼마나 이동할까

- 비료 시비를 어떻게 할까

cf. 균형시비


38. 빗물, 흙도둑 양분도둑

- 고마운 일을 하는 빗물

- 얄미운 일(도둑질)을 하는 빗물


39. 많이 준 비료는 우리 입으로 들어 온다

- 흙에 준 비료가 가는 네 가지 길은

cf. 비료 흡수율


40. 물로 만든 버드나무

- 무게 2.25kg인 버드나무를 흙 90kg을 담은 통에 심었더니 5년 후 57.5kg으로 자랐고 흙은 57g이 줄어들었다. 늘어난 나무의 무게와 줄어든 흙의 무게를 설명하면

cf. 콩을 파종할 때 황과 재를 넣으면 증수율이 높아질까


41. 하늘로 가는 양분, 땅으로 숨는 양분

- 질소의 고향은

- 칼리의 고향은

- 인산질의 고향은

- 칼슘과 마그네슘의 고향은


42. 식물이 좋아하는 밥상

- 질산태 질소(NO3)와 암모니아태 질소(NH4)의 최적 비율은


43. 금을 빨아 먹는 식물

- 식물이 양분을 흡수할 때 어떤 꼴로 흡수할까

cf. 필수 원소의 원자량과 건물중 함량(%)


44. 헷갈리는 %, ppm, mM, 그리고 me/l

- %(퍼센트)는

- ppm(피피엠)은

- mM(밀리몰)은

- me/l(밀리당량 퍼 리터)는


45. 입이 되는 잎

- 잎이 하는 역할은

- 엽면시비시 양분이 흡수되는 시간과 pH 농도에 따른 흡수량

- 잎에서는 유기물도 흡수할까

cf. 엽면시비의 한계


46. 잎으로 보는 식물의 관상

- 생리장애 진단과 다량 원소, 미량 원소, 유용 원소의 결핍

- 부지런한 성분과 게으른 성분


cf. 장애의 종류 ; 사이트 - 작물영양장애진단(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식물영양과 ;http://www.niast.go.kr/pnd/

증상(symptom)과 병징/ 황화(yellowing)/ 갈변(browing)/ 백화(bleaching)/ 위조(wilting)/ 고사(dring)/ 괴사((necrosis)/ 왜화(dwarf)/ 로젯트(rosette)/ 반점(spot)/엽맥간(intervein)/ 노엽(old leaf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