엠마우스 가는 길
흙을 알아야 농사가 산다(1) 본문
흙은 남자인가 여자인가
초 판, 1998년 5월, 『흙은 남자인가 여자인가』, 서원, 이완주
개정판, 2002년 7월, 『흙을 알아야 농사가 산다』, 들녘, 이완주
1. 흙의 부모님은 누구일까
- 흙을 들여다보자
- 흙과 함께 사는 이는 누구
- 살아 있는 흙과 죽은 흙
- 흙을 살리려면
2. 흙 속에 사는 삼형제(토양구조)
- 흙에 사는 상(相, phase)자 돌림 삼형제
- 삼상의 비율은
- 사이좋게 사는 법
3. 흙의 등뼈는 규산
- 흙의 성분을 분석하면
- 식물에 필요한 18가지 성분(원소)
cf. 다량원소와 미량원소
4. 흙의 성씨는 규씨
- 흙을 크기(입자, 알갱이)에 따라 구분하면
- 흙을 토성에 따라 구분하면
cf. 삼각도표
5. 벼는 논에, 땅콩은 강변에
- 작물에 맞는 토성
- 토성 개량과 객토
6. 봄채소는 모래흙에
- 봄채소는 사질토에
- 가을채소는 식질토에
7. 내 땅 흙은 몇 트럭이나 될까
- 입자 밀도
- 전용적 밀도
- 공극
8. 뭉쳐진 흙, 헤쳐진 흙
- 홑알구조(단립구조)
- 떼알구조(입단구조)
- 흙 알갱이를 붙여주려면
9. 흙도 아내처럼 부드러워야 좋다
- 반층
- 반층 깨기
cf. 토심(경토층-반층-심토)과 경도
10. 뿌리가 잘 뻗어야 콩도 잘 열린다
- 가지가 먼저냐 뿌리가 먼저냐
- 심근성 작물과 천근성 작물
cf. 뿌리의 역할
11. 빛깔로 보는 흙의 관상
- 흙의 빛깔은 무엇을 나타내는가/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
cf. 포드졸 토양
12. 흙 속의 물은 종류도 가지가지(물의 세기에 따라 나누면)
- 결합수
- 흡습수
- 포장용수량
- 유효수분(모관수)
cf. 위조계수와 영구위조점 그리고 기압
13. 흙 속에 물이 있어도 식물은 시든다
- 물은 흙 알갱이에 갇혀 있다
- 작물이 이용할 수 있는 물을 많이 간직하는 흙 만들기
14. 해바라기는 물 먹는 하마
- 물 소모 비율(증발, 증산, 표면에서 흘러감과 지하수로 빠짐)
- 증산 계수
- 가뭄 피해를 줄이려면
15. 고추가 풍년 들면, 배추는 흉년
- 수분과 작물의 관계
- 흙 속에 있는 물의 양 측정 방법
16. 도망가는 물 어떻게 막나
- 식물의 몸은 물이 75%
- 물 손실(증발) 방지 방법은
17. 바람 든 무, 바람난 흙
- 대기중의 산소량과 흙 속의 산소량
- 적정 산소량
18. 흙 속의 3천만 중생
- 흙 속에 사는 미생물(토양 미생물)
cf. 길항작용과 상조작용
19. 흙 속에 돌아가는 질소비료 공장
- 흙 속에서 식물이 질소를 먹게 하려면
- 질소고정
20. 제주한란을 살리는 가짜 뿌리
- 균근의 역할은
cf. 근균
21. 지렁이의 천국은 뿌리의 천국
- 토양 속에 지렁이가 없는 이유는(혹은 지렁이를 많게 하려면)
cf. 소리 없이 땅을 일구는 쟁기
22. 채소한테 좋은 질소, 사람한테 나쁜 질소
- 식물이 먹는 질소는
- 사람한테 안 좋은 질소는
23. 날개 달고 도망가는 질소질 비료
- 질산화 작용
- 탈질산화 작용
cf. 휘산
'엠마우스 가는 길 > 생명의 농업 자연 농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지의 수호자 잡초(1) (0) | 2007.12.28 |
---|---|
흙을 알아야 농사가 산다(2) (0) | 2007.11.28 |
흙과 퇴비와 유기물(1) (0) | 2007.11.09 |
농투성이들이 볼 만한 책들 (0) | 2007.10.14 |
이 잡초가 사는 법 (0) | 2007.10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