엠마우스 가는 길

이 잡초가 사는 법 본문

엠마우스 가는 길/생명의 농업 자연 농업

이 잡초가 사는 법

명랑 길벗 2007. 10. 6. 01:53

 

이 잡초가 사는 법

『신제 잡초생태학』

 

 

 

휴면

 

- 쉬는 것이다. 잔다는 것이다.

휴면이란 식물 생육에 적절한 환경 조건이 주어져도 종자나 영양번식 기관이 발아하지 않는 상태로, 생리적으로는 대사가 일시 정지된 상태이다.

cf. 저온 요구성 : 겨울의 추위, 즉 저온을 경험하지 않으면 발아하지 않는 성질을 말한다. 말 그대로 저온을 견디는 것이 아니라 저온을 필요로 하고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.

- 그렇다면 휴면타파의 조건은?

 

 

번식

 

- 불고 늘어서 많이 퍼짐을 말한다.

잡초의 목표는 ‘열매를 맺고 종자를 남기는 것’이다. 이것이 잡초가 살아가는 힘이다. 잡초의 번식은 영양성장 기관의 변형(영양번식)이나 종자(유성번식)로 이루어진다.

cf. 분얼 : 유효분얼과 무효분얼

- 위로만 뻗어 오르지 않는다.

- 잡초는 종자를 남기면서 동시에 계속 성장하고 새로운 꽃을 피운다.

 

 

전파

 

- 종자를 넓게 퍼뜨림이다.

번식 기관이 만들어진 장소로부터 멀리 떨어진 다른 곳으로 이동을 말한다. 왜 그럴까?

- 종자에는 발아에 필요한 만큼의 에너지가 들어 있다. 스스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영양분을 가지고 있다. 종자를 만든다는 것은 그 종자가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에너지를 주는 것이다. 충실하게 종자를 만들었다면 그 다음은 모체 식물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날려 보내는 것이다. 그것이 바로 다음 세대를 위해 잡초의 전략이다.(잡초의 성공전략 112쪽)

 

양과 스피드의 철학

 

 

경합

 

- 수분, 양분, 광, 이산화탄소에 대한 식물의 수요가 공급을 능가할 때 일어난다.

cf. 타감작용 : 식물이 주변에 다른 식물이 자라지 못하도록 어떤 화학물질(타감)을 분비하는 것을 말한다.(이를테면 피톤치드)  

- 잡초경합 한계기간 : 파종 후 초관 형성기에서 생식 생장기 이후 수확기의 사이에는 잡초와 작물이 치명적인 경합이 일어난다. 일수로 따지면 작물 출아 후 10~30일 혹은 작물의 전생육기간의 첫 1/3~1/2 기간 또는 첫 1/4~1/3 기간

- 한계기간 동안의 잡초 억제와 방제(관리) 방법? 혹은 잡초 허용한계 밀도는?

 

 

 

 

군락과 천이

 

- 군락은 우점이다.

일정한 지역 안에 우점하는 식물의 집합체(공간적인 변화에 따른 개념)

- 천이는 종바꿈이다.

군락의 종이 대체되고 종구성이 달라지는 현상이다.(시간적인 변화에 따른 개념)

- 잡초는 군락과 천이를 통해 예측 불가능한 변화에 적응하고, 교란이 일어나는 조건을 도리어 즐긴다.(잡초의 성공전략 25쪽)

 

 

열매 맺지 않는 잡초는 없다

 

- 생명에는 가치가 높고 낮음이 없다. 그러나 강한 생명과 약한 생명의 차이는 있다. 죽느냐 사느냐 하는 상황에 처했을 때 쉽게 포기하고 마는 생명과 이를 악물고 그래도 살고 싶다고 생각하는 생명의 힘에는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.(잡초의 성공전략 259쪽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