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엠마우스 가는 길 (40)
엠마우스 가는 길
흙은 남자인가 여자인가(2) 24. 흙의 보약 유기물 - 유기물 없이 농사를 짓을 수 있을까(유기물이 하는 역할) cf. 양이온 교환(치환) 용량(CEC,Cation Exchange Capacity) : 양인온은 다른 양이온에 의해 그 자리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기도 한다. - 유기물에 대한 오해(토양개량) 25. 볏짚이 벼를 죽인다 - 질소 기아 - ..
흙은 남자인가 여자인가 초 판, 1998년 5월, 『흙은 남자인가 여자인가』, 서원, 이완주 개정판, 2002년 7월, 『흙을 알아야 농사가 산다』, 들녘, 이완주 1. 흙의 부모님은 누구일까 - 흙을 들여다보자 - 흙과 함께 사는 이는 누구 - 살아 있는 흙과 죽은 흙 - 흙을 살리려면 2. 흙 속에 사는 삼형제(토양구조) ..
올해 무경운 노지 무농약 고추를 하면서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.병충해는 없었는데 수확량은 저농약에 비해 절반이었습니다.무경운 녹비 초생재배와 친환경 제재 시용으로 병충해로부터 내병성과 작물의 안정성은 확보했으나 퇴비 시용에서는 실패했는가 봅니다. 본래 무농약은 화학비료를 1/3 사용할 수 있어 기비와 추비를 친환경 제재(주로 액비)와 화학비료(단비 중심)를 혼합했습니다. 하지만 기비에서 유기농식 퇴비 시비를 했으면 결과가 달라졌으리라 봅니다.올 가을에는 녹비식물을 가을에 파종했습니다.(조금 늦었지만 11월초 헤어리베치 + 호밀 + 올보리) 그리고 겨울에는 퇴비를 만들 참입니다. 그 일환으로 퇴비 공부에 들어갔지요.흙을 사랑하는 님들에게 퇴비의 원론 '흙과 퇴비와 유기물'(동화기술교역, 1999년 3월 출간..
왜 산에서 사는가 내가 살고 싶은 삶이기 때문이다. 덫에 걸린 도시와는 달리 적어도 내가 하고 싶은 대로 살 수 있다. 꾸밈 없어 수수하고 가벼워서 조촐하게 사는 거다. 첫째는 몸으로 사는 삶이다. 흙에 뿌리를 내리고 자연에 가깝게 산다. 둘째는 사고 팔리지 않는 삶이다 스스로 생계의 필요를 마..
기본 과정 농업 철학 -짚 한오라기 혁명 / 조화로운 삶 식물과 잡초 -식물 생리학 / 대지의 수호자 잡초 토양과 미생물 -토양은 여자인가 남자인가(흙이 살아야 농사가 산다) -흙, 아는 만큼 베푼다(흙이 살아야 농사가 산다 응용 실전편) -흙에서 시작하는 농사과학(실패 없는 농사를 위한 과학적인 흙 관리와 비료 관리) 심화 과정 농업 철학 -생명의 농업 / 농부 철학자 피에르 라비 식물과 잡초 -식물의 잃어버린 언어 / 풀들의 전략 / 잡초의 성공 전략 / 신제 잡초 생태학 토양과 미생물 -토양 생태계와 토양 자원 / 흙과 퇴비와 유기물 / 토양 미생물학(원리와 응용) 협동조합 -몬드라곤에서 배우자 정치경제학 -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
이 잡초가 사는 법 『신제 잡초생태학』 휴면 - 쉬는 것이다. 잔다는 것이다. 휴면이란 식물 생육에 적절한 환경 조건이 주어져도 종자나 영양번식 기관이 발아하지 않는 상태로, 생리적으로는 대사가 일시 정지된 상태이다. cf. 저온 요구성 : 겨울의 추위, 즉 저온을 경험하지 않으면 발아하지 않는 성질을 말한다. 말 그대로 저온을 견디는 것이 아니라 저온을 필요로 하고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. - 그렇다면 휴면타파의 조건은? 번식 - 불고 늘어서 많이 퍼짐을 말한다. 잡초의 목표는 ‘열매를 맺고 종자를 남기는 것’이다. 이것이 잡초가 살아가는 힘이다. 잡초의 번식은 영양성장 기관의 변형(영양번식)이나 종자(유성번식)로 이루어진다. cf. 분얼 : 유효분얼과 무효분얼 - 위로만 뻗어 오르지 않는다. - 잡초는..